콘텐츠로 건너뛰기

[사회과학의철학] 이해(understanding)

chapter7_re.hwpchapter7_rere.hwp 사회가 자연과 다른 질서를 가지고 있다면, 사회과학은 자연과학과 다른 고유의 과학적 방법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 하에서 이해(Understanding)란 ‘사회적 행동은 그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원칙에서 출발한다.

<b>’타인의 마음’ 문제</b>

수동적 반응과 의미의 구분
‘의미’에 대한 네가지 제안은 ① 환경의 변화에 대한 자연적인 수동적 반응과 ② 자의식적이고 이론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구별하고 있다.

‘타인의 생각’ 문제 (②를 위해 생긴 고유한 문제)
· 행위자의 행동은 그가 고려하는 의미에 종속됨
· 이해는 ‘(타인의) 해석에 대한 (나의) 해석'(double hermeneutic)
· (복잡성 문제를 넘어서는) 사회과학의 고유한 문제
· 이해와 설명을 근본적으로 구분함

<b>합리성 : 베버주의적 접근</b>

사회적 행동의 정의
· (인간) 행동이란 개인이 주관적인 의미를 부여한 행동을 뜻함
· 사회적 행동이란 다른사람의 행동을 고려한 행동을 뜻함

행동에 대한 이해
· 행위자의 생각을 재구성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음
· 이해는 (추론이 아닌) 공감을 통한 것임
· 이상적 유형과 평균적 유형

합리적 선택이론, 게임이론과의 비교
· 베버의 ‘개인’은 단지 homo economicus만이 아님.
· 관료처럼 rule-follower로서의 homo sociologicus 또한 여전함
· homo economicus로서의 합리성은 계산적
· homo sociologicus로서의 합리성은 규칙순종적

<b>규칙따르기로서의 사회적 행동</b>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게임’과 일반적 규칙, 게임과의 유비
· 규칙은 게임(의 의미)을 정의하며 이에는 두가지 규칙이 있음
· 구성적 규칙 : 게임의 목적과 말의 적법한 이동을 정의
· 규범적 규칙 : 그 적법한 이동 안에서의 선택을 총괄
· 전자의 규칙을 깨면 더이상 게임이 아니지만, 후자의 규칙을 깨면 단지 게임을 잘 못하는 것일 뿐

게임과의 유비에 대한 강한 주장
· 특정한 행동은 특정한 관습(더 위에는 문화)에 속해있음
· 배경(context)에 대한 파악이 이해의 핵심
· 이러한 이해는 결국에 여러 ‘삶의 형식들’에 도달

Peter Winch
· 이론검증을 통한 과학 발전 부정
· 실재의 영역이 우리가 쓰는 개념으로부터 나온다고 주장
· 지적 관습들마다 그에 해당하는 여러 실재를 가질 뿐
· institutions(제도, 기관, 관습, 협약 등)은 관념의 구체적 표현
· (khun) 그것들은 사회적 관계와 규칙에 의해 구성됨
· 극단적으로 상대주의적이라는 난점이 있음

<b>규칙과 합리성</b>

두가지 합리성
① 베버의 경제적인 합리적 행동에 대한 이상적 유형
② 규범, 규칙, 관습 등의 맥락 하에 위치시킨 사회적 행동
· homo sociologicus는 homo economicus와 달리 ‘이해’의 영역

규칙과 게임 (비트겐슈타인)
· ‘게임’은 각각의 선수들의 외부에 있는 규범적인 구조
· 구조적 설명과 달리 게임은 총괄적으로 선수들에게 내적임
·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특정하게만 고유하게 의미가 있음
· 인식론적인 요점은 ‘타인의 생각’ 문제에 대한 해답 여부

<b>결론</b>

첫째, 행동에는 의미가 있다. 행동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행동의 의미’와 ‘의미하고자 했던 바’의 재구성을 허용하는 (타인의 생각을 고려한) 방법이 필요하다. 비트겐슈타인의 게임에서도 이는 충족이 되는가?
둘째, 언어에는 의미가 있다. 언어에 그 나름의 규칙이 있듯, 다양한 게임, 생각, 삶에는 그것 나름의 규칙이 있다. 이런 생각이 우리를 어디까지 데려가는가?
셋째, 관습에는 의미가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관습의 존재를 개인행동의 전제조건으로 생각했다. 이렇게 이해된 관습은 단지 행동의 관습적 규칙성이 아니다. 그것들은 공유된 가치를 지니고 규범적인 기대를 높인다. 합리적 선택이론의 결말은?
넷째, 사회적 행위자는 그들의 마음 속에 자신만의 세계에 대한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다른사람이 그러한 모델을 가지고 있다고 신뢰한다. 사회적 행동에 대한 모델은 순환적으로 모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 이 경우, 사회과학에 의해 제공된 사회적 행동에 대한 설명이 옳은가는 부분적으로 행위자들이 그것을 믿는가에도 달려있다. 이는 사회과학의 난제이다. □

(file2가 발제문이고, file1은 요약문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