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심리철학연습 2023-1

이번 학기 심리철학연습은 존 로크의 철학을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한다. 로크의 관념 이론 및 반-본유주의, 1,2차 성질의 구분, 실체와 본질, 행위와 자유, 개인 정체성, 지식 이론, 신과 도덕, 자연법과 자연권, 정치사회와 동의, 관용의 역할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핵심적인 1차 문헌은 『인간지성론』, 『통치론』, 『관용에 관한 편지』이며, 매주 각 주제에 따라 1차 문헌과 함께 2,3편의 2차 문헌들을 함께 읽을 것이다.

수업 방법과 평가

수강생들은 매주 정해진 읽을거리를 읽고 토론에 임해야 하며, 읽을거리 중 일부를 발제해야 한다. 수업의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해 기말고사를 볼 것이며, 수업에서 다룬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소논문 형식의 기말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평가 비율은 출석 10%, 발제 및 수업 태도 20%, 기말고사 30%, 기말보고서 40%이다.

  • 발제 : A4 2-3페이지로 작성하며, 논문의 핵심 논변을 재구성하여 요약할 뿐 아니라, 한 문단 이상의 논평을 포함해야 한다.
  • 기말고사 : 공통 질문마다 A4 2페이지 이내로 답을 작성하여 제출한다.
  • 기말보고서 : 수업에서 다룬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담은 소논문을 작성해야 한다.

수업을 위해 아래의 구글 클래스룸을 사용할 것이다.
https://classroom.google.com/c/NTgyMTAyMzU0ODAx?cjc=fxtrhbg

참고자료

1차 문헌

  • 존 로크, 『인간지성론 1, 2』, 정병훈, 이재영, 양선숙 옮김 (한길사, 2014).
  • 존 로크, 『통치론 : 시민정부의 참된 기원, 범위 및 그 목적에 관한 시론』, 강정인, 문지영 옮김 (까치, 1996/2022). 
  • 존 로크, 『자연법론』, 이문조, 정달현 옮김 (이문출판사, 1988). 
  • 존 로크, 『관용에 관한 편지』 개정판, 공진성 옮김 (책세상, 2021).

단행본

  • Samuel C. Rickless, Locke (Oxford: Wiley-Blackwell, 2014). 
  • E. J. Lowe, Locke (New York: Routledge, 2005)

논문집

  • [CL] Matthew Stuart, ed., A Companion to Locke (Wiley-Blackwell, 2016). 
  • [CCLE] Lex Newman,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Locke’s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 [CCL] Vere Chappell,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Lock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주별 수업 계획

1주. 오리엔테이션

  • G. A. J. Rogers, “The Intellectual Setting and Aims of the Essay”, in CCLE, 1-32.

2주. 본유주의 비판

  • 『인간지성론』, 1권, 1-4장; 2권, 10장. 
  • Samuel C. Rickless, “Locke’s Polemic Against Nativism”, in CCLE, 33-66.
  • 윤선구, “라이프니츠의 로크비판에 관한 연구”, 『철학』 73 (2002), 101-126.

3주. 관념 이론

  • 『인간지성론』, 2권, 1-7장; 9-12장; 15장, 9절(각주 포함)
  • Martha Brandt Bolton, “The Taxonomy of Ideas in Locke’s Essay”, in CCLE, 67-100.
  • Vere Chappell, “Locke’s Theory of Ideas”, in CCL, 26-55.

선택(이미지주의 논쟁)

  • Michael Ayers, “Are Locke’s “Ideas” Images Intentional Objects or Natural Signs?”, The Locke Newsletter (now Locke Studies) 17 (1986), 3-36.
  • Soles, “Is Locke an Imagist?” The Locke Newsletter (now Locke Studies) 30 (1999), 17-66.

4주. 1,2차 성질의 구분

  • 『인간지성론』, 2권, 8장; 21장, 1-4절; 23장, 1-11절; 31장, 1-2절.
  • Michael Jacovides, “Locke’s Distinction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Qualities”, CCLE, 101-129.
  • 김효은, 최성호, “색깔은 과연 이차성질인가?”, 『철학연구』 86 (2009), 223-248.

선택

  • Matthew Stuart, “Locke’s Colors”, Philosophical Review 112 (2003), 57-96.
  • Michael Jacovides, “Locke’s Resemblance Thesis”, Philosophical Review 108 (1999), 461-496.

5주. 행위와 자유

  • 『인간지성론』, 2권, 21장.
  • Vere Chappell, “Locke on the Freedom of the Will”, in Locke’s Philosophy: Content and Context, ed. G. A. J. Rogers (Oxford: Clarendon Press, 1994), 101-121.
  • 김종원, “로크에서의 행위, 의지 그리고 자유 개념”, 『철학사상』 64 (2017), 67-98.

6주. 실체 

  • 『인간지성론』, 2권, 13장, 17-30절; 23장; 30-31장; 3권, 1-3장(특히 3장의 15-18절); 6장.
  • Edwin McCann, “Locke on Substance”, in CCLE, 157-191.
  • 양선숙, “존 로크의 실체개념”, 『철학논구』 18 (1990), 89-119.

선택

  • Jonathan Bennett, “Substratum”, History of Philosophy Quarterly 4 (1987), 197-215.

7주. 자연종과 본질

  • 『인간지성론』 3권, 1-3장; 6-8장; 3권, 9-11장.
  • Michael R. Ayers, “Locke vs. Aristotle on Natural Kinds”, The Journal of Philosophy 78 (1981), 247-272. 
  • Jan-Erik Jones, “Locke on Real Essences, Intelligibility, and Natural Kinds”, Journal of Philosophical Research 35 (2010), 147-172.

선택 1

  • Matthew Stuart, “Locke on Natural Kinds”, History of Philosophy Quarterly 16 (1999), 277-296.
  • Han Thomas Adriaenssen and Lodi Nauta, “Robert Boyle and Natural Kinds”, Journal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Online First, 2022), 1-20. 

선택 2 (언어철학 일반)

  • E. J. Ashworth, “Locke on Language”, Canadian Journal of Philosophy 14(1) (1984), 45-73.
  • Michael Losonsky, “Language, Meaning, and Mind in Locke’s Essay”, in CCLE (2007), 286-312.
  • Paul Guyer, “Locke’s Philosophy of Language”, in CCL
  • 이재영, “로크의 언어 이론”, 『철학연구』 13 (1988).

8주. 중간고사 기간

9주. 정체성

  • 『인간지성론』, 2권, 27장.
  • Kenneth P. Winkler, “Locke on Personal Identity”, Journal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29 (1991), 201-226.
  • 안세권, “인격동일성과 실체”, 『철학연구』 76 (2000), 207-228. 

선택

  • 김옥경, 로크에서 기억과 근대적 개인의 자기정체성, 『철학논집』 42 (2015), 261-289.

10주. 지식 이론과 감각적 지식의 문제

  • 『인간지성론』, 4권, 1-5장; 11장; 14-16장.
  • Keith Allen, “Locke and Sensitive Knowledge”, Journal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51 (2013), 249-266.
  • Lex Newman, “Locke on Knowledge”, in CCLE, 313-351.

11주. 메커니즘의 한계와 신

  • 『인간지성론』, 2권, 28장; 3권, 5장; 3권, 11장, 15-18절; 4권 3장, 18-20절; 9-10장; 12장, 11절; 13장, 3절; 17장, 4절.
  • Michael R. Ayers, “Mechanism, Superaddition, and the Proof of God’s Existence in Locke’s Essay”, The Philosophical Review 90(2) (1981), 210-251.
  • Stewart Duncan, “Locke, God, and Materialism”, in Donald Rutherford, ed., Oxford Studies in Early Modern Philosophy, Vol. 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pp. 101-131. 

선택

  • Margaret D. Wilson, “Superadded Properties: The Limits of Mechanism in Locke”, A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16(2) (1979), 143-150.
  • Margaret D. Wilson, “Superadded Properties: A Reply to M. R. Ayers”, Philosophical Review 91(2) (1982), 247-252. 
  • 이재영, “로크의 종교 철학 : 이성과 신앙의 조화 시작되었다고”, 『기독교철학』, 18 (2014), 9-55.

12주. 도덕 : 자연법과 자연권

  • 『인간지성론』, 1권, 3장; 2권, 20장; 『자연법론』; 『통치론』 또는 『시민정부론』 , 1-5장.
  • Ruth W. Grant, John Locke’s Liberalis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Ch. 1.
  • 김용환, “JOHN LOCKE의 인간론과 정치론에 대한 한 해석”, 『철학』 20 (1989), 133-149.
  • 로버트 노직,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 自由主義國家의 철학적 기초』, 남경희 옮김 (문학과지성사, 1997), 220-225쪽.

선택

  • S. Adam Seagrave, “Locke on the Law of Nature and Natural Rights”, in CL, 373-393.
  • John Colman, “Locke’s Empiricist Theory of the Law of Nature”, in The Philosophy of John Locke: New Perspectives (London: Routledge, 2003), 106-126.
  • W. von Leyden, “John Locke and Natural Law”, Philosophy 31 (1956), 23-35.
  • J. B. Schneewind, “Locke’s Moral Philosophy”, in CCL, 199-225.
  • 김성우, “로크의 계몽적 이성주의의 종교적 콘텍스트에 대한 고찰”, 『시대와 철학』 13 (2002), 263-292.

13주. 정치사회와 동의

  • 『통치론』, 6-9장.
  • Carole Pateman, “Women and Consent”, Political Theory 8 (1980), 149-168. 
  • A. J. Simmons, On The Edge of Anarchy: Locke, Consent, and the Limits of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2014), Ch. 7.
  • 송규범, “존 로크 : 동의와 정치적 의무”, 『서양사론』 115 (2012), 133-158.

선택

  • A. J. Simmons, On The Edge of Anarchy: Locke, Consent, and the Limits of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2014), Ch. 3, 4.

14주. 관용

  • 『관용론』
  • Alex Tackiness, “Locke on Toleration”, in CL, 433-447.
  • 공진성, “17세기 유럽 관용론의 두 유형: 스피노자와 로크”, 『영국연구』 17 (2007), 83-107.

선택

  • 박정규, “존 로크의 관용론 재고 : 1660-70년대 잉글랜드 종교 논쟁의 맥락에서”, 『영국연구』 30 (2013), 1-32.

15주. 기말고사